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두


두두 시집을 선택한 이유는, 사실 별거 없다. 내 시집 선택 기준은 지나치리만큼 간소하고, 또 어떤 의미로는 난해할 정도로 복잡하다. 우선, 제목을 기준으로 선택한다. 제목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지, 그리고 이 어리석은 독자가 얼마나 어리석은 방법으로 읽을 책을 선택하는지 잘 드러나는 방법이다. 그리고 잠깐, 작품들을 살펴본다. 자세히까지는 아니고 어떤 분위기로 쓰여졌는지 확인해서 마음에 들면 집으로 가져오고, 아닌 것 같단 생각이 들면 다시 서가로 돌려놓는다. 그 두번째 선별 과정은 특정한 기준이 없이 그때그때 달라지기 때문에 난해할 정도로 복잡하다 할 수 있겠다. 두두 시집은, 제목이 주는 특별하면서도 단순한 어감이 재미있어서, 그리고 시집 안의 시편들이 짧고 간결한 점이 마음에 들어서였다. 두두 시집의 제목을 보고 느낀 것들을 생각해보면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이 절로 떠오른다. 시집 두두의 제목인 두두는 두두시도 물물전진이라는 말에서 왔다고 한다. 그리고 그 뜻은 모든 존재 하나하나가 도이며, 사물 하나하나가 모두 진리다는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 심오한 뜻을 가졌다. 아마 이 말을 알았더라면 어감을 재미있게 생각했다니, 이런 생각은 하지 않았을 것 같다. 두두 시집을 읽으면서 실험적이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실험적이라는 말은 정확한 표현이 되기 어려운데, 어떠냐면, 전체적으로 시가 굉장히 짧다. 단순히 짧다기 보다는 짧은 글귀들 사이로 기나긴 내용의 의미를 정제해놓은 함축적인 느낌이 든다. 그런데 그 안에서 서사가 느껴지고, 넘치는 느낌이 전해진다. 나무와 햇볕 산뽕나무 잎 위에 알몸의 햇볕이 가득하게 눕네 그 몸 너무 환하고 부드러워 곁에 있던 새가 비껴 앉네 새와 날개 가지에 걸려 있는 자기 그림자 주섬주섬 걷어내 몸에 붙이고 새 한 마리 날아가네 날개 없는 그림자 땅에 끌리네 나무와 허공 잎이 가지를 떠난다 하늘이 그 자리를 허공에 맡긴다 무엇과 무엇이라는 두 대상을 두고 쓰여진 시가 많다. 일상적인 모습을 시로 표현했으면서도 그 교차점이 일상적이지 않은, 시인만의 눈을 거친 표현으로 다시 만들어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어떤 부분이 어떻다고 짚어말하기 어려운데, 새와 날개를 두고 보면, 날아가는 날아가는 새의 그림자가 땅 위에 나타난 것을 땅에 끌리어간다는 표현으로 나타낸 점이 내게는 특별하게 다가왔다. 연이어 옮겨놓은 세편의 시들은 다 그러한 비슷한 느낌을 받은 것들이었다. 내가 보고 있는 페이지의 뒷편을 시인이 보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겨울 a 콩새가 산수유나무 밑을 뒤지고 오목눈이들이 무리 지어 언덕에서 풀씨를 뒤질 때 식탁 위의 감자튀김(올리브유에 튀긴) 내가 뒤지는 이 시는 개인적인 경험이 떠오르기 때문에, 재미있다고 느껴져서 옮겨놓았다. 오목눈이들이, 콩새가 먹이를 찾는 모습을 시인에게로 또, 나에게까지 확대되어 바라볼 수 있게 만드는 시였다. 식탁 위의 감자튀김을 뒤지는 행위를 일상적이게 느끼도록 하면서 더 넓은 범위의 행동으로 확장시켜놓은 것도 같았다. 올리브유에 튀겼다는 디테일까지도 재미있었고. 시인의 유고 시집이었다고 한다. 뒤늦은 부음을 들은 셈이다. ** 두두시도 물물전진 모든 존재 하나하나가 도이며, 사물 하나하나가 모두 진리다는 의미
1965년 등단한 이래 ‘시의 언어와 구조’의 문제에 대해 그 누구보다 치열하게 탐구해왔던 시인 오규원의 유고시집. 그냥 ‘있을 뿐’인 세계와 인간이 어떤 관계를 유지하며 수사적 인간의 존엄성을 찾을 수 있는가에 천착했었던 시인의 시세계가 솔직하게 그려내었다. 숨을 거두기 직전까지도 이러한 문제의식과 시작을 놓지 않았던 시인이 휴대폰 문자나 제자의 손바닥에 또렷이 남긴 그의 시적 사유들은 이제 떠난 그를 대신해 세상에서 숨 쉬고 있다.

시인의 말

두두
그대와 산
봄과 밤
4월과 아침
봄날과 돌
봄과 나비
베고니아와 제라늄
라일락과 그늘
강 건너
꽃과 꽃나무
나무와 햇볕
조팝나무와 새떼들
빗소리
아이와 강
층츠안무와 길
산과 길
덤부과 덩굴
여름
여자와 굴삭기
한낮
식빵과 소리
저녁
길과 길바닥
풀과 돌멩이
쥐똥나무와 바람
발자국과 길
새와 그림자
새와 날개
나무와 허공
바람과 발자국
겨울a
겨울b
지빠귀와 잡목림
눈과 물걸레질

물물
고요
아이와 새
빗방울
강변
여름
오후

해가 지고 있었다
처서
빛과 그림자
쑥부쟁이
구멍 하나
가을이 왔다
부처
새가 울지 않고 지나갔다
잣나무와 나
마흔여? 통의 사랑편지와 다른 한 통의 사랑편지

해설 - 두두의 최소 사건과 최소 언어 / 이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