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에 대하여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었던 것 같다. 과연 아는 척을 하는 것과 아는 것을 말하는 것에 대하여 우리는 구분을 하고 있었던 것이 였을까? 어떠한 의문에 대하여 질문을 던졌을 때 그것을 말로 직접하는 사람이 우리 주위에 얼마나 있을까? 그 많은 것들을 실현 시켜줄 하브루타에 대하여 장점과 단점을 말하면 자신의 공부하고 있는 분야의 지식이 어느 한 부분에 멈춰 있는지 자각 할수 있다는 것 이고 조금더 나아가 사회화라는 것에 장점이 있고 단점은 그 분야의 사람이 듣다보면 어떠한 부분에서 같은 의견을 내는 사람과 의견차이를 가지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고 결국 그들만의 수업이 될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에 대하여 생각해보지만 현재의 교육방식 보다는 낫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하브루타의 본질은 여기서 시작 되었다. 모든 사람은 완벽할수 없으며 그 부족한 부분을 서로 서로 매꿔 나가면서 발전하는 것이 사람이다.에서 말이다. 즉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은 부족함을 숨기며 어떠한 빈틈도 보이지 않는 교육 방식이라고 할수 있다. 여기의 문제점은 딱 하브루타의 어떠한 특징과 정반대다. 예를 들어 a라는 것을 외우라고 한다. 우리는 외우기만 하지만 그 교육 방식 그것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지 자각하지 못한다 하브루타는 a라는 것을 외우고 거기에 더나아가 질문을 한다. 이 a가 왜 a일까?그리고 더나아가 b라는 것은 또 무엇일까? 라는 질문을 서로하게 하게 되면서 점점더 많은 부분의 영역의 지식을 습득할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순환이 진정한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닫힌 결말이 아닌 열린 결말인게 학문이고 그것에 대하여 하나의 생각만을 생각하는 것은 많은 문제를 가져 올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을 극단적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이 생겨나면 또 문제가 하나 생각이 난다. 즉 a라는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남이 원하는 말을 하는 것이다.그것이 생겨날 원인은 아마 학부모에 있다고도 할수 있다. 학구열이 높다고 성적이 높다해서 인생의 다가 아니라고 하는 어른들은 하지만 그것이 인생의 절반은 차지 한다는 말은 해주지 않는다. 즉 하브루타식의 수업이 또 다른 주입식 교육이 될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걱정이 되었다 어느 한 쪽에 몰리지 않고 대화하는 것은 어찌보면 하브루타 말고 우리한테도 도입해야 될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단절된 대화는 오해를 사고 그것에 더하여 상처를 주기 까지 한다. 하지만 그것을 옛날에 해왔던 것이라는 이유로 모든 것을 통제하고 말을 끊는 것은 정말 잘못된 사회가 가진 고질적인 문제라고 생각한다. 아기들한테 도입가능성이 많은 이 하브루타 수업의 의미를 정말로 이해하고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하여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 지면 많아 질수록 우리나라 사회의 질도 올라가지 않을까?라는 희망을 가지고 이책을 덮었던 것 같다. 그리고 하브루타와 비슷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숨기는 연습도 중요하지만 표현하는 방식도 연습하는 것을 서로 도와주는 것에 대하여 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하브루타에서도 그러한 것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지식의 위주 일뿐 그상대방의 감정에 대하여 이해하면 할수록 그것에 대한 조금더 많은 발전을 이룰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이글을 마친다.
무엇으로 하브루타를 해야 하는가?교과별 특성을 반영한 하브루타 수업 실천 사례 왜 가르쳐야 하는가?아이들의 삶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무엇으로 하브루타를 해야 하는가?교과서와 아이들의 삶을 이어 주는 하브루타 수업하브루타 수업은 아이들이 타인과 세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해한다는 것은 설명할 수 있고, 해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아이들은 하브루타 수업을 통해 교과서 속 지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며 비판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고 세상을 이해하게 된다. 교과서는 하나의 이야기를 쓰고 있지만 아이들 각자의 이해와 해석을 통해 다양한 색깔로 나타날 수 있다. 교사가 가르치는 시간을 줄이고 아이들이 서로 가르치고 묻는 시간을 많이 주었을 때 놀라운 변화가 일어난다. 아이들은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자신의 배움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렇게 배움의 내용과 과정이 자신의 것이 되었을 때 아이들은 성장한다. 질문하며 성장하는 하브루타는 배움을 통해 삶을 성찰하는 지혜를 준다.
프롤로그
제1장 하브루타로 풀어 가는 학급운영
1. 하브루타로 풀어 가는 생활인성지도
01 아이들에게 귀 기울이기
02 자존감을 살리는 관심 기울이기
03 또 묻고 또 들으며 함께하기
04 작은 성취감 선물하기
2. 하브루타로 수업 속 관계 맺기
01 수업을 살리는 관계 맺기
02 질문으로 풀어 가는 수업 속 관계 맺기
03 인성과 배움의 하브루타 수업하기
04 함께 돕는 학부모와의 관계
제2장 생각이 깊어지는 하브루타 도덕 수업
01 철학하는 수업, 도덕 하브루타
02 갈등을 주제로 한 도덕 수업
03 공정을 주제로 한 도덕 수업
04 만화를 활용한 인권 수업
05 동영상을 활용한 인권 수업
제3장 아이들 배움 중심의 하브루타 국어 수업
01 교사는 삶과 수업을 이어 주는 징검다리
02 배움의 문을 여는 아이들의 질문
03 설명하며 이해하는 친구 가르치기
04 자신의 삶과 마주하는 문학 감상
05 책 내음 가득한 도서관 프로젝트
제4장 교과서를 열어 주는 하브루타 사회 수업
01 학생을 위한 하브루타 사회 수업
02 질문으로 준비하는 하브루타 사회 수업
03 교과서를 열어 주는 하브루타 기술
04 하브루타 사회 수업의 과정
05 하브루타 기본 모형을 적용한 사회 수업
06 하브루타로 하는 사회과 평가
제5장 실력 쑥쑥! 하브루타 수학 수업
01 너무 많은 우리 반 ‘수포자’
02 수학익힘책으로 시작한다
03 친구와 함께하는 수학 하브루타
04 질문으로 공부하는 수학 하브루타
05 놀랍게 성장한 수학 실력
06 놀라운 변화, 하브루타
제6장 집단지성 살리는 하브루타 과학 수업
01 소통과 도전이 부족한 과학 수업의 한계
02 탐구를 촉진하는 교사의 질문 전환
03 집단지성으로 탐구하는 하브루타 과학 수업
제7장 행복한 삶을 가꾸는 하브루타 진로 수업
01 진로 교육의 필수 조건, 하브루타
02 ‘인생 여행’을 준비하는 진로 교육
03 행복 찾아 누리는 진로 교육
04 공부의 의미를 찾는 진로 교육
05 삶을 완성해 가는 습관 교육
06 행복한 삶의 여정, 하브루타
부록 질문 카드
에필로그
참고문헌